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중학교 교육과정
- 패트릭 브링리
- 수학적 귀납법
- 단편 드라마
- 안드로이드
- Code Blast
- 누구를 위한 교육과정인가?
- 인공지능
- 베스트 극장
- 4차 산업혁명
- 욱
- 매트로폴리탄 미술관
- 코드 폭발 효과
- MontyHall
- 휴먼명조
- 파일 검색
- 2022 개정 교육과정
- 앱
- 블록 코딩
- 선각자
- 박사 논문
- 2021년 튜링상
- code.org
- 나만의 독서법
- 동영상 플레이어
- 알프레드 에이호
- 제프리 울만
- 변곡점
- Visual Studio Code
- 머신러닝
- Today
- Total
목록도서 (53)
코딩하는 공무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0eYFI/btsLDYpGDT5/XdT4cQOyvPTiYawkVWOMaK/img.jpg)
요즘 다소 딱딱한 주제의 책을 주로 읽었던 터라 좀 더 '감성'적이고, '인문'스러워지고 싶어 선택했는데, 최근에 읽었던 최고의 인문학 책이다. '단어가 갖는 의미, 그리고 그것이 우리의 삶에 이렇게 연결될 수도 있구나...'를 느끼게 해주는... 가독성 높은 편집에, 관련있는 이미지가 적절히 들어가 있어 술술 넘어가는 읽기 편안하다.각 장(챕터)을 구성하는 주제 23가지가 독립되어 있으면서도 분량이 많지 않아 더욱 편안하게(연속해서, 또는 띄엄띄엄) 읽을 수 있다. ★ ★ ★ ★ ★01. 사소한 궁금증이 만드는 위대함에 대하여박목월 시인의 시를 동요로 만든 가사 중 일부입니다. 이 가사에서 등장하는얼룩소도 칡소를 만ㄹ하는 것이라 합니다. 정지용 시인의 시 에 등장하는 얼룩백이 황소와 마찬가리로 칡소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Rhv7/btsEP9jWilZ/ZR9OaJk7PKAUNPKr6X81lk/img.jpg)
존 듀이의 진보주의 철학을 기틀로 삼아 현재 미국이 이끄는 세계적인 교육 사조(역량 중심 교육과정, 학생 참여 중심 수업 등)를 다소 비판적인 시각으로 서술하는 책. 그 중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내용.... "지식이 없으면 창의성도 없다". 저자는 지식 교육과 교사 주도의 수업을 강조하는 영국 교육부 정책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 인물로 인정받아 2017년 영국 교육계의 가장 영향력 있는 20인에 선정되었다.학력 저하에 대한 진보주의 교육 사조에 대한 비판을 의식해서인지 미국도 '역량 중심 교육과정'을 한 동안 강조하다가, '이해 중심 교육과정'의 사조로 변화했다. 교육과정의 사조 변화는 우리나라의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교육과정에도 영향을 미쳐, 총론의 인간상과 그에 따른 핵심 역량,..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8kgJ/btspl63wjnm/ur7WR7fuG2MqWLLw3kvG80/img.jpg)
최근 100년 간에 있었던 세계사적 사건 11개를 선정해서 기술한다. 거기에 역사학자가 아닌, 작가이자 정치가로서 자신의 생각을 가미했다. 그런데... 난 아직도 이 책의 제목이 왜 "거꾸로 읽는 세계사"인지 모른다. (초판 출간 당시, 세계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전달한다는 의미였을까?) ★ ★서문: 오래된 책을 다시 펴내며이 책은 20세기 세계사의 열한가지 큰 사건을 다룬 보고서다. 하필 왜 이 사건들을 선택했는가? 세계를 지금 모습으로 만든 결정적인 장면이기 때문이다. 20세기가 끝나고 20년 넘는 세월이 흘렀으니 그런 사건을 고르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적 거리를 생겼다고 본다. (p5)사회적 불의와 불평등을 집단적 의지와 실천으로 극복할 수 있다고 믿지만 한 번의 사회혁명으로 모든 것을 바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lk2P/btsLBzhkAGN/V6pRyLRkC0Q4vDvvcdgEgK/img.jpg)
책의 부제를 보고 고민없이 구매한 책. 그러나 생각보다 딱딱하다. 마치 전공책 처럼.... ★ ★1장 데이터 과학은 무엇인가?데이터 과학에서 예측은 이런 분류 규칙을 발견해주는 기술이다. 그럼에도 예측이라 하는 이유는 기술이 미래가 아니라 현재의 어떤 속성에서 누락된 값을 예측하기 때문이다. 즉, 스팸 사례의 경우, 해당 전자우편이 스팸인지 아닌지라는 누락된 속성의 값을 찾아내는 것이 바로 예측인 셈이다. (p14~15)이렇게 추출한 패턴을 실행 가능한 통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여기서 통찰이란 그렇게 얻어낸 패턴이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은 문제와 관련된 정보를 주어야 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실행 가능성은 이런 통찰이 현재 보유한 역량으로 어떤 식으로든 활용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p1..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QhR7/btsLAVlffdP/kNulLsTSSg2W95fIu4wTt1/img.jpg)
지성과 철학이 없는 국가의 지도자. 그로 인해 생긴 마음의 고통을 조금은 덜어주는.... 정치적인 이념을 떠나 리더의 중요한 덕목과 자질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하는 책. 그렇다고 반복해서 읽을 만한 수준은 아니다. 서문에서 "잡설"이라고 평가한 저자의 고백처럼.... ★★제1장 그를 보며 깨달은 것민주주의는 선을 최대화하는 제도가 아니라 악을 최소화하는 제도다. 21세기 문명의 표준이 된 것은 그 장점 때문이다. (p23)포퍼는 민주주의와 독재를 구분하는 기준을 단순 명확하게 제시했다. 다수 민중이 마음을 먹었을 때 평화적 합법적으로 권력을 교체할 수 있으면 민주주의, 그게 불가능하면 독재 전체주의다. (p24)국가는 추상적인 존재다. 정부도 그렇다.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정부를 이루는 사람들이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vuTam/btsplPt99yS/oGKB6jP03TwUylTaNgEfEk/img.jpg)
과학 관련 다양한 도서에서 얻은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수학의 핵심적인 지식과 원리들을 뼛속까지 문과인 저자의 관점으로 자신 만의 생각을 가미하여 기술한 책. 어려운 과학 용어나 수식 등이 문과 남자의 뇌에서 한번 필터링 되고 텍스트로 윤색되어 이해하기 쉽다. 일부 내용은 상당히 철학적이다. 과학이 철학적이라니.. 이러한 지적 신선함은 이 책이 주는 보너스다. 과학 분야의 도서에 관심이 있다면 이 책의 각주를 참조하는 것도 한 방법. ★ ★ ★ ☆서문 : 과학 공부의 즐거움1. 그럴법한 이야기와 확실한 진리 (인문학과 과학)호모 사피엔스의 뇌가 생물학적으로 진화해 자신을 이해하려는 욕망을 버리지 않은 한, 인문학이 사라지는 일은 없을 것이다. 인문학이 진짜 위기에 빠지는 경우는 단 하나뿐이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aPOd5/btsFP85puUh/nvIuWJfRHCenf6SKNas2P0/img.jpg)
다른 사람의 뇌의 그림을 그려주는 기술, 기법을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제시해 준다. 누군가에서 보고를 하거나, 설명을 하고나, 심지어 고백을 해야 하는 사람에게도 유용한 기술들... ㅎㅎ 이런 내용을 왜 나는 이제야 알게 되었나. 미리 알았더라도 달라질 건 없겠지만... ★ ★ ★01 Idea 왜 아이디어에 그칠까한눈에 보이는 기획력이란 내가 생각한 것, 내가 정리한 것, 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을 남이 보았을 때 한눈에 들어오게 표현하는 기술이다. (p14)만약 당신이 간단하게 설명하지 못한다면 당신이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p16)한눈에 보이는 기획력은 내가 남들 보라고 만든 문서를 '왜 남들은 안보나', '왜 보기 싫어하나' 또는 '왜 못 알아보나'하는 의문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ll40/btsK2fyk0ci/HBHh9EZUNmNm9WJkqrm47K/img.jpg)
2024년 전국 정보 교사 컨퍼런스(2024.11.30. 10시~16시, 고려대학교)에서 얻은 최고의 수확은....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문병로 교수님께 싸인도 받고, 멋진 기조 강연도 들었다. 인공지능에 대한 멋진 통찰력을 주시는 교수님의 추상화 레벨은 어디까지일까? ★★★★★계산의 패러다임 전환명시적 접근에서 은유적 접근으로, 지금까지 다루지 않던 수준의 추상화와 지금까지 다루지 않던 수준의 관계 추구와 최적화 알고리즘 기술이 결합되고, 지금까지 사용해본 적 없는 수준의 하드웨어로, 지금까지 불가능한 수준의 문제들이 정복/개선은유와 추상의 혁명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tGSix/btsFQzBDCX5/SmWppLa4dlQ8EESCjxwIDK/img.jpg)
민간 기업의 사원들이 갖는 자신의 업무에 대한 '간절함'과 '처절함'을 느끼게 해주는.... 어떻게 하면 상사와 고객의 머릿속에 '그림'을 그릴 지에 대한 고뇌가 담긴 책이다. 글이 젋고 유쾌하다. 그래서 그런지 자신감이 있고 강렬하다 ★ ★ ★ ★ 1. Focus, 근본적으로 중요한 게 뭘까의도가 어떻든 원래 하려던 말이 무엇이었든, 핵심은 '상대방의 뇌 속에 연상된 것이 무엇인가?'이다. 정리하면, 자신이 무엇을 말했느냐보다 상대방의 머릿속에 어떤 그림이 그렸느냐가 더 중요하다. (p30)나의 구구절절한 설명을 처음부터 끝까지 인내심을 가지고 들어주는 사람은? 엄마밖에 없다. 엄마도 세 살 때까지만 들어주실 뿐이다. 따라서 당연히 그분은 이렇게 말씀하신다."아, 시끄럽고. 이 일을 왜 하는 하는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loi7o/btsETmPQVfE/KIA1OUtG2UqRkeoaHPBmo0/img.jpg)
멋진 서문으로 이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를 제시한다. 서문 만으로 감동받은 몇 안되는 책.우리 인류의 터전인 지구의 탄생에서 현재의 모습에 이르기까지 46억년 동안 이루어진 어마어마한 규모의 역사적 스케일을 마치 한편의 영화를 보듯이 박진감있고 속도감있게 묘사한다. 최근에 읽은 과학 교양서 중 단연 압권. 지구에 관한 화학적, 물리적, 생물적 관점의 서술 방식도 좋다. 참고로 이 책을 볼 때 지질 연대표를 옆에 두고 볼 것을 추천한다. (본 도서 p113에도 나온다) ★★★★★서문이토록 많은 사람들이 우리 다음 세대의 삶을 바꿔놓을 지구적인 변화에 거의 신경을 안 쓰는 이유는 대체 무엇일까? 1968년 세네갈 산림 감시원 바바 디움은 기억에 남을 답을 내놓았다. "결국 우리는 자신이 사랑하는 것만을 보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8P6CF/btsGFmIoNOb/B6HXxLfsiKXoRsEjrX8fkK/img.jpg)
대담집이다 보니 내용의 구성과 흐름의 체계성은 다소 떨어지나 음악을 포함한 인간의 언어, 감각, 인식 등 다양한 분야를 뇌과학의 시각으로 가볍고 편안하게 다룬다. 서체가 나름 가독성이 좋은 편이다. ★ ★ ★제1장 음악에 감동하는 인간뇌가 커지면서 눈에만 속하는 것도 아니고 귀에만 속하는 것도 아닌 여분의 영역이 생겨났습니다. 그곳이 소위 '연합영역'입니다. 인간의 경우는 그 영역이 매우 커졌고요. 그리고 시각과 청각이라는 서로 이질적인 두 감각을 연합시킨 결과 생겨난 것이 바로 '언어'입니다. 인간은 언어를 가짐으로써 세계를 '똑같이' 만들어 버린 겁니다. (p24)'데카르트 좌표'는 시각적 좌표이고 청각적 좌표인 '극좌표'에는 거리와 각도밖에 없어요. 소리가 얼마나 멀리서 들리는지, 어느 방향에서 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PrGnj/btsERwTe5eU/R3CvXqkuIjJjhBTL6xWOM1/img.jpg)
케틀레, 골턴, 테일러, 손다이크, 몰레나에 이르기까지 '평균'이 우리의 삶, 특히 교육과 우리의 인식 체계에 미쳤던 그 간의 역사, 그리고 그에 따라 면면히 이어져왔던 관행과 고정관념에 대해 서술한다. 그러나 색다른 관점을 기대했다면 조금 실망스러울 수 있다. ★★ ★제1장 평균의 탄생평균적인 공군 조종사를 찾기가 사실상 불가능한 이유는 이 집단만의 어떤 독특한 특징 때문이 아니라 모든 인간의 특징, 즉 신체 치수의 극도의 다양성 때문이다. 대니얼스는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정상에 대한 인위적인 이상을 더 열심히 따르도록 권고하기 보다 이 책이 토대로 삼은 다음의 반 직관적 결론에 이르렀다. 평균적 인간을 바탕으로 삼아 설계된 시스템은 실패하기 마련이다. (p26-27)쓸모없다는 말도 과분한 표현이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KhULX/btsIJ0XSG03/7rtEKRs3M6i9zcK4qsFjd1/img.jpg)
AI를 조금은 알고 있는데, 보다 깊이 있는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적합하다. 책을 받아보고는 책의 크기가 생각보다 작아서 깜놀... 2~3일 만에 완독 가능하다. ★ ★ ★ ★ 머리말말 그대로 '인공지능의 캄브리아기'(5억 2,000만년전~4억8,830년전, 생물이 폭발적으로 나타났던 시기)가 시작된 것입니다. 아마도 내년 말쯤이면 앱스토어에 등록된 모든 앱의 90퍼센트 이상이 어떤 형태로든 인공지능을 쓰고 있을 것이라고 저는 짐작합니다. (p7~8) 1강. 놀라움과 두려움 사이에서 등장하다 (챗GPT의 탄생)'인간의 언어에 관한 모델'이 1,750억개 매개변수의 연결 어딘가에 들어 있을 거라고 보기도 합니다. 혹은 인간이 생각하는 것과 거의 비슷한 방식의 추론 능력이 어딘가에 있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LKRKj/btsGFyIQBPk/EqerIYfsIK44ndH7daxSPk/img.jpg)
인공지능에 대한 역사적 배경, 인공지능 프론티어들의 현재 이야기들이 글과 적절한 수식, 친근한 만화와 함께 펼쳐진다. 만화와 글의 적절한 조화로 다소 깊이 있는 내용을 다루는 시도가 매우 효과적이다. 2권, 3권으로 갈수록 '컴퓨터 과학' 분야로 주제가 넓어진다. 4권이 기대되는 책 ★★★★브런치 매거진에서 책 대부분의 내용을 볼 수 있다. https://brunch.co.kr/magazine/yamanin 야사와 만화로 배우는 인공지능 매거진#브런치북 #인사이트 #만화 #야사brunch.co.k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ucL6/btsDGLkevE9/kt7fQS94LjFYbzS2sKgMdk/img.jpg)
쇼펜하우어의 일부 생각과 그와 연관된 여러 학술적 이론들을 짜집기한 책인데, 깊이가 없고 산만하다. 심지어 너무 당연한 이야기를 철학이라는 담론으로 포장한다. 예를 들어, "주식 토론방에서 종목을 추천하는 사람이 사기를 쳐서 많은 사람이 손해를 보는 사례도 있었다. 모든 인간의 탐욕을 보여 주는 사례다." (p55), "정신적으로 고상한 욕구가 없는 사람은 자유로운 여가 시간에 이상적인 것에서 즐거움을 느끼지 못해 무료함에서 빠져 밖으로 나간다. 하지만 곧 현실에서 피곤함을 느끼게 된다. 쇼펜하우어는 이런 사람을 속물로 칭한다" (p123) ...이러한 문구에서 어떻게 영감을 얻을 수 있을까? 중년의 나이에 갑자기 찾아드는 고민거리들을 5가지(진리, 자신, 행복, 관계, 인생)로 유형화했다는 점은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