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2022 개정 교육과정
- 머신러닝
- 단편 드라마
- 패트릭 브링리
- 수학적 귀납법
- code.org
- 안드로이드
- 누구를 위한 교육과정인가?
- Code Blast
- MontyHall
- 2021년 튜링상
- 박사 논문
- 앱
- 제프리 울만
- 변곡점
- Visual Studio Code
- 욱
- 4차 산업혁명
- 휴먼명조
- 알프레드 에이호
- 나만의 독서법
- 코드 폭발 효과
- 파일 검색
- 인공지능
- 중학교 교육과정
- 매트로폴리탄 미술관
- 동영상 플레이어
- 베스트 극장
- 블록 코딩
- 선각자
- Today
- Total
목록컴퓨터교육 (86)
코딩하는 공무원
랜덤 수열에 대해 각 정렬 알고리즘의 속도를 비교해 보자!! Bubble = Selection = Insertion > Shell > Heap = Quick
https://app.edublocks.org/ EduBlocks app.edublocks.org https://github.com/edublocks (소스코드) EduBlocks Block-based programming tool that helps introduce text-based programming languages - EduBlocks github.com
교육에서 그토록 강조하고 추진해 왔던 ICT도 활용, 인공지능도 활용.... 그래서 나온 결과가 정보통신분야 1위의 국가에서 OS 하나 제대로 만들지 못한다는 사실. 삼성 갤럭시도 구글의 OS는 잘 활용하고는 있지만...언제까지 다른 나라의 OS를 활용만 하고 있는지.. 왜 우리는 원천 기술 쪽 보다는 활용에만 몰두할까? first leader가 되야 한다고 그렇게 이야기하면서 second follower를 강조하는 이유가 뭘까? 나라의 먼 미래가 걱정이다. 교육이 이러니 인재가 생겨날리가 없고... 그리니 우리 산업의 미래가 암담하다는 거다.
교육과정은 오늘을 사는 우리가 미래를 사는 아이들을 위해 만드는 교육의 큰 방향과 설계도다. 그러기에 이 설계도는 우리 아이들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 그 아이들이 살아갈 사회와 시대를 생각하고, 그 속에서 그 아이들의 역할과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의 삶을 생각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는 과연 그러한 고민이 있었나? 아니, 그렇게 하고자 하는 의지는 과연 있었냐는 말이다. 그래. 그렇지. 맞아. 교육과정 개정이 지금껏 한 두번 있었던 일이었나? 그러한 고민과 의지가 이번 개정 교육과정에서 더욱 필요한 것은 아닐 것이다. 그래.. 그냥 무능력한 것이다. 그렇게 생각하는 편이 어쩌면 마음이 편해질거 같다. 이것 만이 결국 교육과정이 국가교육위원회로 넘어갈 수 밖에 없는 이유가 될 것이다. 스스로 좌초한 일.....
1. (묻고 답하기) 아이콘 더 직관적으로 - 나의 결과 메뉴에서 보이는 나의 도움 요청 (느낌표, 숫자는 댓글수) - 나의 결과 메뉴에서 보이는 남의 도움 요청 (좀비, 숫자는 도움 요청 수) - 도와주세요 메뉴에서 보이는 남의 도움 요청 (물음표, 숫자는 댓글 수) - 전체 결과에서 보이는 도움 요청(나의 도움요청, 남의 도움요청 모두 / 물음표, 숫자는 댓글수) 2. (묻고 답하기) 다른 사람의 소스에서 에디터로 넘어갈 때 - 나의 결과에서 별도 표시 (다른 사람의 도움 요청에 의한 실행임을 표시) - 바로 그 도움 요청으로 가서 댓글 달 수 있도록 표시
최근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안)에 대한 공청회가 있었다. 올해 12월에 총론 주요사항의 발표에 앞서 진행되는 공청회이다. 공청회의 진의야 어떻든, 대국민 의견 수렴, 또는 숙의하지 못한 채 내놓은 교육과정(안)에 대한 외부의 시각과 비판의 정도를 '측정'하는 역할은 어째든 충실히 할 수 있을 것이다. 공청회의 주체가 총론 연구진이기는 하나, 공개한 내용이 그들만의 순수한 연구 결과만이 아님을 어느 정도 짐작하는 나로서는 이번에 발표된 중학교 교육과정을 접하고는 허탈함을 지울수가 없었다. 내가 느꼈던 허탈함의 근원은 특정 교과의 시수가 제대로 확보되지 않았다는 실망감에서 비롯되지 않는다. 그저 철학과 미래에 대한 비전 없이 결정되는 국가 정책의 가벼움에 있다. 저자는 어떤 교과의 시수를 더 늘려야..
다가오는 지식 정보 사회에서는 기존 지식의 암기에서 벗어나 자기 주도적으로 새로운 지식과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창의성과 협업 능력을 갖춘 미래 인재 양성이 더욱 요구된다. 세계경제포럼에서는 미래 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으로 4C, 즉, 비판적 사고력 Critical Thinking, 창의력 Creativity, 협업능력 Collaboration, 소통능력 Communicatuion을 제안한 바 있다. 이러한 역량들은 지금의 효율성을 강조한 획일화된 교육으로는 길러 질리 만무하다. 다수의 학생 중에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는데 초점이 맞춰진 교육이나 기존 지식을 단순히 암기하고 정답을 선택하는 피상적인 학습으로도 길러질 수 없다. 세계적인 인구 구조의 변화에 더하여 출생률 감소라는 고질적인 병폐를 안고 ..
http://cms-dev.github.io/index.html https://cms.readthedocs.org/en/latest/index.html
http://snoopybox.co.kr/1510 http://technet.microsoft.com/ko-kr/library/cc753525(v=ws.10).aspx
http://www.phpschool.com/gnuboard4/bbs/board.php?bo_table=tipntech&wr_id=4484 http://php.net/manual/kr/function.exec.php http://php.net/manual/en/ref.exec.php ==================== cmd.exe 에 IIS 계정 접근 실행 가능하게 설정을 하여야 하더군요. C:\WINDOWS\system32 에 위치한 cmd.exe 파일 우클릭 후 보안에 사용자계정을 추가해야합니다. IIS에서는 인터넷 게스트 계정으로 들어오는데 IUSR_로 시작하는 계정을 추가 읽기 및 실행 권한을 주면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 php로 exe, bat 파일을 실행..
스크래치 강좌 C언어 강좌
http://sansanee.tistory.com/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