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블록 코딩
- 수학적 귀납법
- 단편 드라마
- code.org
- 동영상 플레이어
- 알프레드 에이호
- 욱
- 파일 검색
- 베스트 극장
- 4차 산업혁명
- 머신러닝
- 제프리 울만
- 안드로이드
- MontyHall
- 휴먼명조
- 변곡점
- 매트로폴리탄 미술관
- Visual Studio Code
- 앱
- 2021년 튜링상
- 나만의 독서법
- 인공지능
- 중학교 교육과정
- 박사 논문
- 2022 개정 교육과정
- Code Blast
- 패트릭 브링리
- 코드 폭발 효과
- 선각자
- 누구를 위한 교육과정인가?
목록전체 글 (577)
코딩하는 공무원
http://it-ebooks.info 이건 너무 하잖아…
1. 해당 IDE에서 소스코드 복사 2. EditPlus에 해당 언어로 새 문서를 연 후, 붙여넣기 3. EditPlus에 Ctrl+A > 마우스 우클릭 > 클립보드 HTML로 복사 4. 새 HTML 페이지 연 후 붙여 넣기 5. 다음 그림의 버튼 클릭 6. EditPlus에서 임시로 만든 html 문서에서 Ctrl+A를 눌러 복사한다. 7. 한글에서 표를 만든 후 표 내부에 붙여넣기. 이때 반드시 원본 형식 유지!! 8. 한글에서 소스코드 전체 선택 > Monaco 서체, 크기는 9, 줄간격 160으로 설정9. 한글에서 소스코드 전체 선택 > 마우스 우클릭 > 문단 번호 모양 > 1. 1.1 1.1.1 모양을 '사용자 정의' 버튼을 눌러 다음과 같이 수정 '글자모양지정' 선택 > 글자모양 > 크기 9,..
BlueJ에서 Greenfoot 시나리오를 열기 위해서는 Greenfoot 패키지가 필요합니다. 첨부파일을 BlueJ에서 사용자 라이브러리로 등록한 후 사용하세요.
1. 다음의 주소에서 mingw를 설치한다. (MinGW는 리눅스 내장 컴파일러 gcc를 윈도우환경에서 제공합니다.) http://mingw.org > mingw-get-inst-날짜.exe 다운로드 2. 환경변수 Path에 MinGW의 bin 폴더의 절대 경로 추가 3. EditPlus의 설정 > 도구 > 사용자 도구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C++ 컴파일 C:\MinGW\bin\g++.exe -o $(FileNameNoExt).exe $(FileName) $(FileDir) 출력 내용 캡쳐 C++ 실행 $(FileNameNoExt) $(FileDir)
원하는 시간 간격마다 해당 세션을 ‘새로 고침’ 해주네요.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압축 해제한 후 설치합니다. 2.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도구 메뉴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선택하세요. 3. 아침에 업무포털에 로그인한 후 다음 그림과 같이 설정하시면, 퇴근할 때까지 계속 로그인이 유지됩니다. (가끔 튕겨져서 로그아웃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http://www.dekisoft.com
객체에 대한 참조가 있거나 월드 상에 존재하면(보이지는 않더라도 월드 상에 있다면) 어째든 메모리에 상존합니다. 참조가 없고 ‘그리고’ Actor 객체가 removeObject() 메서드에 의해서 월드 상에서 없어져야 가비지 컬렉팅의 대상이 됩니다. 객체에 대한 참조가 있는 한 removeObject() 메서드가 호출되었다고 해서 메모리 해제가 되는 것은 아니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많은 객체들을 생성한 후 removeObject() 메서드를 호출하면 눈에는 보이지 않는 객체들이 메모리에는 그대로 남아 있다는 것이지요.. 참조가 있는 한 이러한 객체들은 메모리 상에 존재하므로 언제든지 addObject() 메서드를 통해서 월드 상에 다시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이때 새로운 위치 값을 설정해야 ..
설치폴더\lib\greenfoot.defs 의 다음 부분을 수정하면 해결됩니다. ↓
남들은 어떻게 생각할지 몰라도 나는 내가 지각인생을 살고 있다고 생각한다. 대학도 남보다 늦었고 사회진출도, 결혼도 남들보다 짧게는 1년, 길게는 3∼4년 정도 늦은 편이었다. 능력이 부족했거나 다른 여건이 여의치 못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모든 것이 이렇게 늦다 보니 내게는 조바심보다 차라리 여유가 생긴 편인데, 그래서인지 시기에 맞지 않거나 형편에 맞지 않는 일을 가끔 벌이기도 한다. 내가 벌인 일 중 가장 뒤늦고도 내 사정에 어울리지 않았던 일은 나이 마흔을 훨씬 넘겨 남의 나라에서 학교를 다니겠다고 결정한 일일 것이다. 1997년 봄 서울을 떠나 미국으로 가면서 나는 정식으로 학교를 다니겠다는 생각은 하지 않았다. 남들처럼 어느 재단으로부터 연수비를 받고 가는 것도 아니었고, 직장생활 십수년 하면..
Nimbus is a polished cross-platform look and feel introduced in the Java SE 6 Update 10 (6u10) release. The following screen capture, from SwingSet3 shows the Nimbus look and feel. Nimbus uses Java 2D vector graphics to draw the user interface (UI), rather than static bitmaps, so the UI can be crisply rendered at any resolution. Nimbus is highly customizable. You can use the Nimbus look and feel..
http://sourceforge.net/projects/freefilesync/
1. NativeLoader.java 파일을 동일한 시나리오 폴더에 넣는다. 2. 라이브러리가 jar 파일인 경우, 시나리오 폴더에 ‘+libs’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 jar 파일을 이동한다. 3. 원하는 클래스에 다음의 코드를 추가해서 라이브러리를 로드한다. (다음은 Microsoft Bing Translator API의 예다) Microsoft translator java api 관련 사이트 http://code.google.com/p/microsoft-translator-java-api http://www.microsoft.com/web/post/using-the-free-bing-translation-apis client ID와 secret 받는 법 http://msdn.microsoft.com..